conv_mdbxx

   conv_mdbxx

  사용법


	conv_mdbxx [-o outfile][-D directory][-O] mdbx-yyyy.mm
	conv_mdbxx -t [-o outfile][-D directory][-O] mdbxx-yyyy.mm
	conv_mdbxx -V

	Options are as follows:

	-D directory    output directory
	-o outfile      output file name, default: mdbxx-yyyy.mm
	-O              overwrite
	-t              transform byte ordering of mdbxx-file
	-V              show version

	mdbx-yyyy.mm    old mmonx(V7.x) data file
	mdbxx-yyyy.mm   mmonx(V10.x) data file
  설명

conv_mdbxx 명령어는 구 버전(V7.x) mmonx 명령어가 수집한 데이타 파일을 V10.x에 있는 mmonx 명령어가 수집하는 데이타 형식으로 변경하여 새로운 파일을 만든다.
V10.x 버전 mmonx 명령어에서 수집되는 데이타량이 대폭 증가하였다. 구 버전(V7.X)의 mmonx 명령어가 한 달 동안 수집하는 데이타 양은 약 6.2MB 이고 V10.0에서 한 달 동안 수집하는 데이타 양은 14.3 MB이다.

현재 실행되고 있는 mmonx 프로세스가 있으면 그 프로세스를 종료한 후에 mdbx-file을 conv_mdbxx 명령어로 mdbxx-file로 변환한 후에 mmonx 명령어를 다시 실행하여야 한다. 그렇게 해야 기존에 수집된 데이타에 연속하여 데이타가 저장된다.
구 버전(V7.X) mmonx 명령어가 생성하는 파일은 mdbx-yyyy.mm 형식의 파일이고 V10.x 버전의 mmonx 명령어가 생성하는 파일은 mdbxx-yyyy.mm 형식의 파일이다.

# ps -eaf | grep mmonx
    root   247     1  0 20:02:01 ?        0:00 /opt/JSparm/bin/mmonx -O
    root   553   431  0 20:14:30 pts/4    0:00 grep mmonx
# kill 247
# cd /opt/JSparm/dbspace
# conv_mdbxx mdb-2009.02
# /opt/JSparm/bin/mmonx

위의 명령어에서 conv_mdbxx 명령어는 mdbxx-2009.02 파일을 현재 디렉토리에 만든다. 원본 파일은 그대로 놓아 둔다. 변환이 성공적으로 완료되었으면 원본 파일을 지워도 된다. 아무런 메세지가 나오지 않으면 성공적으로 변환된 것이다.

Parm V10.x에 있는 ParmView에서는 구 버전(V7.x)의 데이타를 볼 수 없다. 이미 데이타 수집이 완료된 데이타에 대해서도 데이타 변환해야 ParmView를 통하여 웹으로 볼 수 있다. 변환이 완료된 후에는 이전 파일을 지워도 된다.

mmonx 명령어가 생성하는 데이타 파일(mdbxx-yyyy.mm)의 바이트 순서(byte order)가 SPARC 버전과 X86 버전이 다르다. 따라서 X86 시스템에서 수집한 데이타 파일을 SPARC 시스템에서 볼 수 없다.
이 경우에 SPARC 시스템에서 데이타 파일을 -t 옵션을 지정하여 변환하여 사용하여야 한다.
V10.2 부터는 변환하지 않아도 데이타를 읽을 수 있다. 이 경우에 데이타를 읽을 때마다 실시간으로 데이타을 mrepx 명령어에서 변환을 하기 때문에 변환 오보헤드가 발생한다.

# mrepx -B
Byte Order: big-endian
# mrepx -I mdbxx-2009.05
mdbxx-2008.05: king V10.0 little-endian
# conv_mdbxx -t mdbxx-2009.05
# mrepx -I mdbxx-2009.05
mdbxx-2008.05: king V10.0 big-endian
# conv_mdbxx -t mdbxx-2009.05
mdbxx-2009.07: Same byte order. No need to transform

"mrepx -B" 명령어를 실행하면, 현재 시스템의 바이트 순서를 표시한다. "mrepx -I" 명령어를 실행하면, 지정한 데이타 파일의 바이트 순서를 표시한다.

다음은 conv_mdbxx 명령어의 옵션이다.

옵션설명
-D directory 출력파일을 만들 디렉토리를 지정한다. 디폴트는 현재 디렉토리이다.
-o outfile -o 옵션은 출력 파일명을 지정한다.

이 옵션이 지정되어 있지 않으면, 입력파일명(mdbx-file)에서 mdbx을 mdbxx로 변경하여 새로운 파일을 입력파일이 있는 디렉토리에 만들어 진다.

-O 출력파일이 있으면 오류가 발생한다. 이때 -O 옵션을 지정하면 기존 파일에 덮어쓴다.
-t -t 옵션을 지정하면, 데이타 파일의 바이트 순서(byte order)를 현재 시스템의 바이트 순서로 변환한다. 현재 시스템과 데이타 파일의 바이트 순서가 같으면 변환이 필요없다.

-o 옵션을 지정하지 않으면, 입력으로 지정한 데이타 파일을 변환하여 같은 파일명으로 덮어 쓴다.

-V -V 옵션을 지정하면, 명령어의 버전 정보를 보여준다.
mdbx-file
mdbxx-file
구 버전(V7.X)에 있는 mmonx 명령어가 수집한 데이타 파일.
파일명의 형식은 mdbx-yyyy.mm 이어야 한다.

-o 옵션으로 출력 파일명을 지정하지 않으면, mdbxx-yyyy.mm 형식의 파일이 입력파일이 있는 디렉토리에 만들어 진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