6 구성파일 및 포트번호
구성파일
다음의 파일들은 필요시 사용자가 직접 만들어야 한다. 이 파일들은 JSparm 패키지를
제거해도 시스템에서 지워지지 않고 남아 있다. 따라서 JSparm 패키지를 제거하고
다시 설치해도 구성정보는 그내로 유지된다.
- /etc/JSlicense.d/parm.lic
-
Parm의 라이센스 정보를 가지고 있는 파일이다.
- /etc/parmview.conf
-
ParmView를 서비스하기 위한 gwserv 웹서버에
대한 구성정보를 가지고 있다. 이 파일이 있으면 부팅시에 자동으로 mmonx와
gwserv가 실행된다.
이 파일은 /etc/rc2.d/S90mmonx 에서 참조된다.
- /etc/parmview.access
-
ParmView 를 위한 access control 파일이다.
이 파일은 mrepx.cgi 에서 참조된다.
- /etc/parmclient.conf
-
이 파일의 내용은 참조되지 않는다. 이 파일이 있으면 부팅시에 자동으로 parmagentx와
cpuviewd가 실행된다.
이 파일은 /etc/rc2.d/S90parmagentx 에서 참조된다.
- /etc/parmclient.access
-
hostview.exe, sysmon.exe,
cpuview.exe, hostvt 명령어들을 위한 access control 파일이다.
이 파일은 parmagentx 와 cpuviewd 에서 참조된다.
- /etc/gwserv.conf
-
이 파일이 있으면 부팅시에 자동으로 gwserv가 실행된다.
이 파일은 /etc/rc2.d/S90gwserv 에서 참조된다.
- /etc/jlogmon.conf
-
이 파일이 있으면 부팅시에 자동으로 jlogmon이 실행된다.
모니터하려고 하는 파일에 대한 정보를 지정한다.
이 파일은 /etc/rc2.d/S90jlogmon 에서 참조된다.
- /opt/JSparm/conf/procinfo.off.data
-
이 파일이 존재하면, ParmView 웹 프로그램의 [Process Info]에서 "Top processes" 정보를 보여주지 않게 한다.
- /opt/JSparm/conf/procinfo.off.live
-
이 파일이 존재하면, ParmView 웹 프로그램의 [Process Info]에 "Live Info" 프로세즈 정보를 보여주지 않게 한다.
- /opt/JSparm/conf/mmonx.opt
-
이 파일은 mmonx가 시스템 부팅시에 명령어의 옵션을 읽기 위해 사용된다.
- /opt/JSparm/conf/mmonx.opt
-
이 파일은 mmonx가 시스템 부팅시에 명령어의 옵션을 읽기 위해 사용된다.
- /opt/JSparm/conf/parmagentx.opt
-
이 파일은 parmagentx가 시스템 부팅시에 명령어의 옵션을 읽기 위해 사용된다.
- /opt/JSparm/conf/cpuviewd.opt
-
이 파일은 cpuviewd가 시스템 부팅시에 명령어의 옵션을 읽기 위해 사용된다.
- /opt/JSparm/conf/procdir.cfg (이전 버전의 호환성을 위해 사용할 수는 있지만, 설명은 없슴)
-
ParmView 의 [Process Info] 윈도우에서 사용되며,
mmonx_proc 명령어가 수집한 데이타가 있는 디렉토리를 지정한다.
- /opt/JSparm/conf/hostlist.cfg
-
ParmView 의 [MultiHost Graph] 윈도우에서 사용되며, 호스트 명을 지정한다.
- /opt/JSparm/conf/hostdir.cfg
-
ParmView 의 [Directory Graph] 윈도우에서 사용되며, 호스트 데이타 디렉토리 구성파일을 지정한다.
- /opt/JSparm/conf/hostlink.cfg
-
ParmView의 [Main Graph] 윈도우에서 사용되며, 윈도우의 상단에 다른 호스트 머신으로 연결할 링크를 표시한다.
- /opt/JSparm/conf/colormap
-
mkgraph에서 단일 그래프를 만들때, 사용되는 색상을 정의한다.
- $HOME/.parm/sysmon.cfg
-
sysmon.exe 명령어에서 "[Save Config]" 버튼을 클릭할 때,
현재 명령어의 구성정보를 저장하는 파일이다.
- $HOME/.parm/hostview.cfg
-
hostview.exe 명령어에서 "[Save Config]" 버튼을 클릭할 때,
현재 명령어의 구성정보를 저장하는 파일이다.
- $HOME/.parm/hostlist.txt
-
hostview.exe 명령어에서 "[Connect Host List]" 버튼을 클릭할 때,
읽어들일 파일명이다.
- $HOME/.parm/hosts.txt
-
hostview.exe, sysmon.exe,
cpuview.exe 명령어들이 "[Connect]" 버튼을 클릭할 때,
읽어들일 파일명이다.
- /opt/JSparm/dbspace/proc/ON
-
이 파일이 존재하면, mmonx 데몬 프로세스가 시스템의 프로세스 정보를 수집하여
CPU를 많이 사용하는 순서로 10개의 프로세스 정보와 HP+STK를 많이 사용하는 순서로 5개의 프로세스 정보와
RSS를 많이 사용하는 순서로 2개의 프로세스 정보와
SIZE가 큰 순서로 2개의 프로세스 정보를 "day_dd" 라는 파일명으로 저장한다.
데이타 디렉토리
- /opt/JSparm/dbspace/
-
mmonx 데몬 프로세스가 1 분에 한번씩 시스템 통계정보를 수집하여
/opt/JSparm/dbspace 디렉토리에
mdbxx-yyyy.mm 형식의 파일명으로 한달에 하나씩
데이타 파일을 만든다.
한달 동안 수집한 데이타의 크기는 약 15 MB 정도 된다.
이 디렉토리 안에 psinfo.1dat 파일이 있는데, 이 파일은 최근 1분에 수집된 프로세스 정보를 가지고 있다.
- /opt/JSparm/dbspace/proc/
-
mmonx 데몬 프로세스가 시스템의 프로세스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디렉토리이다.
저장되는 파일명은 day_nn 형식이다. 여기서 nn은 일수 이다. 범위는 0 에서 31 사이이다.
TCP 포트번호
- 9900
-
ParmView서비스를 하기 위하여 gwserv가 사용한다.
- 9810
-
parmagentx가 사용한다.
- 9811
-
cpuviewd가 사용한다.
- 9812
-
logviewer.exe가 사용한다.
- 8008
-
gwserv의 디폴트 포트번호이다.
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