jwget
사용법
jwget -V
jwget [-t sec][-v][-o outfile][-C][-r] http://hostname[:port]/...
jwget -h hostname [-p port] [-t sec][-v][-o outfile][-C] arguments...
jwget -h hostname [-p port] [-t sec][-v][-o outfile][-C] -i infile
Options are as follows:
-? print this help
-C check HTTP header
-i infile specify input file name
-h hostname hostname to connect
-o outfile specify output file name
-p port TCP port number to connect; def: 80
-r including HTTP return header info
-t sec timeout seconds
-v verbose mode
-V show version
설명
jwget 명령어는 HTT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HTML page를 웹서버로 부터 가져온다.
# jwget -o index.html -h localhost -p 9900 /index.html
# jwget -o cpu.gif -h localhost -p 9900 /mrepx.cgi?-n+-k+D:2010.07,7,0,24,1,100,1,3,CPU
# jwget -o free.gif http://192.168.193.100:9900/mrepx.cgi?-n+-k+D:2011.11,13,0,24,1,100,1,3,free
# ls -l cpu.gif index.html
-rw-r--r-- 1 guest other 13681 Sep 7 18:06 cpu.gif
-rw-r--r-- 1 guest other 10616 Sep 7 18:06 free.gif
-rw-r--r-- 1 guest other 1616 Sep 7 18:06 index.html
|
위에서 첫번째 jwget 명령어는 localhost 에 9900 포트로 접속하여 "/mrepx.cgi?-n+-k+D:2010.07,7,0,24,1,100,1,3,CPU"
페이지를 요청하여 그 결과를 cpu.gif 파일에 저장한다.
두번째 jwget 명령어는 localhost 에 9900 포트로 접속하여 index.html 페이지를 요청하여 그 결과를 index.html 파일에 저장한다.
-h 옵션으로 웹서버 이름을 지정하고, -p 옵션을 사용하여 TCP 포트 번호를 지정한다.
jwget 명령어는 ParmView에서 웹으로 보는 그래프 데이타를 명령어 라인에서 그래프 테이타를 가져올 수 있도록
최소한의 기능만 구현한 것이다.
이 명령어를 범용으로 웹페이지 데이타를 가져오기 위해 사용하기에는 기능이 미비하다.
-v 옵션을 지정하면, 웹서버에 전달되는 데이타와 서버에서 보내는 데이타의 헤더 부분을 표준오류에 출력한다.
# jwget -o index.html -h localhost -v -p 9900 /index.html
::Send to::
GET /index.html HTTP/1.0
Accept: image/gif, image/x-xbitmap, image/jpeg, image/pjpeg, application/x-ms-application,
application/vnd.ms-xpsdocument, application/xaml+xml, application/x-ms-xbap,
application/x-shockwave-flash, application/vnd.ms-excel, application/vnd.ms-powerpoint, application/msword, */*
User-Agent: jwget V10.2
Accept-Language: ko
Host: localhost:9900
::Receive from::
HTTP/1.0 200 OK
Server: gwserv/V10.1
Connection: close
Date: Tue, 10 Jan 2012 16:10:58 KST
Last-modified: Mon, 18 Apr 2011 11:25:31 KST
Content-length: 1616
Content-type: text/html
|
다음은 jwget 명령어의 옵션이다.
옵션 | 설명 |
-C |
-C 옵션을 지정하면, HTTP request의 결과물에서 HTTP 결과상태 정보를 조사하여 "OK" 상태가
아니면, 그 결과를 표준오류에 WARNING 메세지로 출력한다.
# jwget -o index.html -h localhost -C -p 9900 /index.ht
WARNING: HTTP/1.0 404 Not found
#
|
HTTP request가 정상적으로 수행되면, 다음과 같은 상태 정보가 HTTP return 헤더 정보의 첫번째 줄에 나온다.
HTTP/1.0 200 OK
|
-i infile |
-i infile 옵션을 지정하면, HTTP request 데이타를 infile 파일에서 읽어서 바로 보낸다.
-i infile 옵션없이,
arguments를 지정하면 지정한 인수를 HTTP 형식으로 변환하고, 추가적인 정보를 더하여 HTTP request로
보낸다.
|
-h hostname |
-h hostname 옵션으로 접속할 웹서버의 이름을 지정한다.
|
-o outfile |
-o outfile 옵션을 지정하여, 결과물을 파일에 저장한다.
-o outfile 옵션을 지정하지 않으면, 표준출력으로 출력한다.
|
-p port |
-p port 옵션은 지정한 TCP 포트번호를 지정한다. 디폴트 포드번호는 80 이다.
|
-r |
-r 옵션을 지정하면, HTTP return header 정보도 함께 출력한다.
-r 옵션을 지정하지 않으면, HTTP return header 정보를 제외하고 순수 데이타 부분만 출력한다.
|
-t sec |
-t sec 옵션을 지정하여 TCP connction 맺는데 타임아웃 시간을 지정할 수 있다.
이 시간은 connection 단계에서만 적용되고, 데이타를 읽는데는 사용되지 않는다.
|
-v |
-v 옵션을 지정하면, 웹서버로 전달되는 HTTP request를 표준오류로 출력한다.
|
-V |
-V 옵션을 지정하면, 명령어의 버전 정보를 보여준다.
|
arguments |
인수가 하나이면 그대로 HTTP URL로 사용하고, 인수가 2개 이상이면,
첫번째 인수를 CGI로 판단하여 데이타를 변환하여 사용한다.
# jwget -o index.html -h localhost /index.html
HTTP request : GET /index.html HTTP/1.0
# jwget -o index.html -h localhost login.cgi user=guest password=xxxx
HTTP request : GET login.cgi?user=guest+password=xxxx HTTP/1.0
|
인수가 2개 이상이면 첫번째 인수뒤에 '?'를 붙이고, 인수와 인수 사이는 '+'로 연결하고,
두번째 인수 부터, 인수에 공백 또는 '%' 있으면 %nn 형식으로 변환한다.
|
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