mmonx

   mmonx

  사용법


	mmonx [-d][-c count][-f][-n][-p][-b basedir][-O]
	mmonx -F [-b basedir]
	mmonx -s
	mmonx -V

	Options are as follows:

	-?           print this help
	-b basedir   base directory for datafile
	-c count     specifies the number of times that gathering data is repeated
	-d           do not gather disk information
	-F           fix dbfile
	-f           do not gather file system usage information
	-n           do not gather network information
	-O           read options from /opt/JSparm/conf/mmonx.opt
	-p           do not gather process information
	-s           show device names of disk and network to be monitored
	-V           show version

  설명

mmonx은 시스템에서 데몬 프로세스로 동작하며, 1분에 한번씩 하루에 1440(60*24)번 시스템의 통계정보를 데이타 파일에 저장한다.
mmonx V10.0 버전에서는 이전 버전과 달리 더 많은 시스템 정보와 프로세스 정보를 수집한다. 또한 저장 되는 데이타 파일명도 mdbxx-yyyy.mm 으로 변경되었다.
(여전 버전의 데이타 파일명은 mdbx-yyyy.mm 이다)

저장되는 데이타는 아래에 있는 "데이타 항목" 절에서 기술한다.
하루에 저장되는 크기는 약 473 KB 정도이고 한 달이면 약 14.4 MB 정도 차지한다. 저장되는 파일은 /opt/JSparm/dbspace 디렉토리에 한 달에 한번씩 다음과 같은 파일명으로 저장된다.

mdbxx-yyyy.mm
yyyy:   4 digits year
  mm:   2 digits month

시간이 오래되어 불필요한 파일은 사용자가 주기적으로 지워 주어야 한다.

mmonx에 의해 수집된 데이타는 웹 애플리케이션 ParmView의 CGI 프로그램인 mrepx.cgi에 의해 사용된다.

JSparm 패키지를 설치한 후에, /opt/JSparm/etc 디렉토리에 있는 parmview.conf 파일을 /etc 디렉토리에 복사하고, 쉘 스크립트 /etc/rc2.d/S90mmonx를 실행하면, ParmView를 서비스하기 위한 mmonx 명령어와 gwserv 명령어가 실행된다.

# cp /opt/JSparm/etc/parmview.conf /etc
# sh /etc/rc2.d/S90mmonx start
mmonx[2033] is started
gwserv[2035] is started on port 9900

/etc/rc2.d/S90mmonx 쉘 스크립트는 시스템 부팅시에 실행되며, /etc/parmview.conf 파일이 있으면, 다음과 같은 명령어를 실행한다.

	/opt/JSparm/bin/mmonx -O
	/opt/JSparm/bin/gwserv -Bc /etc/parmview.conf
/opt/JSparm/bin/gwserv -Bc /etc/parmview.conf는 웹 애플리케이션 ParmView 를 서비스하기 위하여 TCP 포트 9900번에 /opt/JSparm/parmview 디렉토리를 도큐멘트 루트로 하는 미니 웹 서버 gwserv 명령어가 실행된다.
포트 번호를 변경하려면, /etc/parmview.conf 파일에서 "port: 9900" 인 라인에서 9900 번 대신 다른 포트 번호를 지정하면 된다.

ParmView를 실행하기 위해서는 netscape와 같은 웹 브라우저에서 다음과 같은 URL를 지정하면 된다.

http://hostname:9900 시스템 부팅시 자동으로 실행되는 것을 종료하려면, /etc/parmview.conf 파일을 지우거나 다른 이름으로 바꾸어 놓으면 된다. 그리고 실행중인 데몬 프로세스를 종료하려면, 위에 있는 두개의 프로세스를 kill 명령어로 종료하거나, 다음과 같은 명령어를 실행하여 종료할 수 있다. # /etc/rc2.d/S90mmonx stop

시스템의 시간은 mmonx이 데이타를 수집하는데 매우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. 시스템 시간은 임으로 바꾸면, 데이타 파일에 손상을 줄 수 있다.

Parm V10.0에서 mmonx 명령어는 매분마다, 데이타가 수집되는 디렉토리(디폴트: /opt/JSparm/dbspace) 밑에 proc 디렉토리가 있고, 그 디렉토리에 "ON" 이라는 파일(/opt/JSparm/dbspace/proc/ON)이 존재하면, 프로세스 정보를 수집하여 CPU를 많이 사용하는 순서로 10개의 프로세스 정보와 HP+STK를 많이 사용하는 순서로 5개의 프로세스 정보와 RSS를 많이 사용하는 순서로 2개의 프로세스 정보와 SIZE가 큰 순서로 2개의 프로세스 정보를 "day_dd" 라는 파일명으로 저장한다.
여기서 dd 는 일수이고 01에서 31까지의 숫자 중에 하나이다.
(-p 옵션이 지정되어 mmonx 명령어가 실행되면, 프로세즈 정보를 수집하지 않는다.)

ON 은 대문자만 인식한다. ON 파일에는 다음과 같이 한줄에 하나씩 옵션을 지정할 수 있다.

-t n
-i n

-t 20 라고 지정하면 CPU를 많이 사용하는 순서로 디폴트 10개가 아니고, 20개의 프로세스 정보를 수집한다.
지정할 수 있는 최소 값은 2 이고, 최대 값은 100 이다.
지정한 값이 최대 값을 범위를 넘으면 최대값(100)으로 지정한다.

-i 5 라고 지정하면 디폴트 1분이 아니고, 5분 단위로 프로세스 정보를 수집한다. 매 5분 마자 데이타를 수집합니다. (5, 10, 15, 20, 25, 30, 35, 40, 45, 50, 55, 0);
-i 30 라고 지정하면 30분 단위로 프로세스 정보를 수집한다.(30, 0)
-i 7 라고 지정하면 7분 단위로 프로세스 정보를 수집한다.(7, 14, 21, 28, 35, 42, 49, 56)

지정할 수 있는 최대 값은 60 이다. 지정한 값이 최대 값을 범위를 넘으면 최대값(60)으로 지정한다.

ON 파일의 내용을 읽는 도중에 오류가 발생하면 더 이상 파일을 읽지 않고 스킵한다.

mmonx 명령어가 수집한 데이타를 정기적으로 삭제하려면 다음과 같은 명령어를 crontab에 등록하여 사용할 수 있다.

1 0 1 * * find /opt/JSparm/dbspace -mtime +365 -type f -name "mdb*" -exec rm -f {} \; > /dev/null 2>&1

위의 명령어는 매월 1일 0시 1분에 find 명령어를 실행하여 /opt/JSparm/dbspace 디렉토리 밑에서 수정 시간이 365 일이 지난 파일명이 'mdb' 로 시작하는 파일을 ‘rm –f’ 명령어로 지운다.

  다음은 각 옵션에 대하여 설명한다.

mmonx 데몬 프로세스가 -O 옵션을 가지고 실행되기 때문에 추가적인 옵션을 지정하고 싶을 경우 /opt/JSparm/conf/mmonx.opt 파일에 지정하면 된다.

옵션설명
 -b basedir -b 옵션은 데이타 파일을 생성할 디렉토리를 지정한다. 디폴트 디렉토리는 /opt/JSparm/dbspace 이다.
 -c count -c count 옵션을 사용하여 데이타를 수집하는 횟수를 지정할 수 있다. mmonx 데몬 프로세스는 1분에 한번씩 시스템 통계 데이타를 수징한다. 1일 1440분이다. -c 1440을 지정하면 24 시간 동안 데이타를 수집하고 mmonx 프로세스를 종료한다.
-c 옵션을 지정하지 않으면 1 분 간격으로 무한 반복하여 데이타를 수집한다. /opt/JSparm/dbspace 이다.
 -d -d 옵션을 지정하면 디스크 정보를 수집하지 않는다.

디스크가 많이 있는 시스템에서 디스크 정보를 수집할 경우에 시스템에 부하를 많이 줄 수 있다. 이럴 경우에 -d 옵션을 지정하여 디스크 정보를 수집하지 않을 수 있다.

이럴 경우, DISK_OPS, DISK_KB, DISK_SVCT 정보가 수집되지 않는다.

 -f -f 옵션을 지정하면 파일시스템 사용량 정보를 수집하지 않는다.

이럴 경우, TOP_FS 정보가 수집되지 않는다.

 -F -F 옵션은 시스템의 시간변경으로 잘못된 Data 파일을 수정해준다.

mmonx을 실행하면 다음과 같은 오류 메세지나 나온다.

ERROR: Data file (/opt/JSparm/dbspace/mdbx-2001.01): future data is recorded; System date is changed?
이 경우는 시스템의 현재 날짜보다 늦은 날(day)의 데이타가 파일에 있기 때문에 나오는 오류 메세지이다. 이럴 경우에 -F 옵션을 사용하면, 오늘 날짜부터 그 파일의 끝까지 기록되어 있는 데이타를 지운다.
 -n -n 옵션을 지정하면 네트웍 정보를 수집하지 않는다.

이럴 경우, NET_LO_PKT, NET_RE_PKT, NET_RE_KB, NET_RE_RTT 정보가 수집되지 않는다.

 -O -O 옵션을 지정하면 /opt/JSparm/conf/mmonx.opt 파일에서 옵션을 읽어 들인다. 이 파일에 한라인에 하나의 옵션을 지정할 수 있다.

다음과 같은 옵션을 지정할 수 있다.

-d
-f
-n
-p
-b basedir
-b 옵션의 경우, 명령어 라인과 /opt/JSparm/conf/mmonx.opt 파일에 중복 지정되면 명령어 라인에 지정된 것이 사용된다.

옵션 파일이 존재하지 않으면 그냥 무시하고 계속 실행한다.

 -p -p 옵션을 지정하면 프로세스 정보를 수집하지 않는다.

이럴 경우, PS_NLWP, PS_HPSTK, PS_TOP_WCPU, PS_TOP_HS, PS_TOP_RSS, PS_TOP_SIZE 정보가 수집되지 않는다.

 -s -s 옵션을 지정하여 실행하면, mmonx 데몬 프로세스가 수집하는 DISK 와 NETWORK 디바이스 정보를 다음과 같이 출력한다.
데몬 프로세스로 동작하지 않고 디바이스 정보만 출력한다.
$  mmonx -s
NETWORK: lo0
NETWORK: e1000g0
DISK: cmdk0
DISK: sd1
 -V -V 옵션을 지정하면, 명령어의 버전 정보를 보여준다.

  데이타 항목

mmonx이 수집하는 데이타는 ParmView의 그래프 항목에서 설명한다.

  로그 파일

mmonx 가 시작하거나 오류가 발생하거나 시스템의 상태에 변화가 있으면 그 내용을 /var/log/mmonx.log 파일에 저장한다. 이 파일의 크기가 64K 이상이면 /var/log/mmonx.log.bak으로 이름을 변경하고 다시 /var/log/mmonx.log에 로그를 저장한다.